더 나은 채용 프로세스를 만드는 능력, 모든 지원자 경험을 긍정적으로 만드는 능력 바로 그리팅의 능력
채용 담당자가 반한 솔루션 6,000여 기업이 택한 그리팅
두들린 대표 이태규
<개발사 스토리: Behind the SaaS>
지금 사용하고 있거나 관심이 가는 SaaS 제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국내 SaaS 제품 관계자를 직접 만나 개발 비하인드부터 신규 업데이트된 꿀기능까지 SaaS의 거의 모든 것을 물었습니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일하는 방식에 대해 고민하고 그에 대한 저마다의 답을 내놓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채용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공개 채용이 주를 이루던 시대에서 핵심 인재를 필요할 때마다 확보하는 수시 채용이 대세로 자리 잡고 있죠.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빠르게 포착해 채용 문화를 선도하는 기업, 두들린이 있습니다. 두들린은 복잡한 채용 과정을 단순화하고 인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 ‘그리팅’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죠. 서비스 개발 3년 만에 LG디스플레이, 컬리 등 6,000곳 이상의 기업이 솔루션을 도입할 정도로 단숨에 성장했는데요. 두들린 이태규 대표를 만나 그 비결을 물었습니다.
수시 채용 시대,
기업의 필수 파트너 그리팅
그리팅은 어떤 제품인가요?
그리팅은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채용하는 데 도움을 주는 솔루션이에요. 채용 홈페이지 제작, 공고 배포, 지원자 관리, 면접 일정 조율, 인재풀 관리 등 채용의 모든 것을 그리팅 하나로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국내 채용 시장이 바뀌는 트렌드를 알아차리고 제품을 개발하셨다고요.
과거엔 기업들이 공개 채용을 통해 신입 사원을 대거 선발하고,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전략을 택했어요. 하지만 팬데믹 이후로 수시 채용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요. 경영이 불안정하니 채용 규모를 줄이고, 경력직 인재를 선발하는 거죠. 2019년에 대졸 공채를 없앤 현대차그룹에 이어, LG그룹, SK그룹도 수시 채용을 택하고 있어요. 인크루트 설문에 따르면, 2024년 채용 계획을 세운 기업의 72.5%가 경력직 수시 채용을 실시하겠다고 말하기도 했고요.

공개 채용에서 수시 채용으로 바뀌면, 인재를 채용할 때 어떤 어려움을 겪나요?
가장 큰 어려움은 지원자를 수시로 관리해야 한다는 점이에요. 보통 공개 채용은 채용을 한 번에 진행하기 때문에 예상하는 일정대로 지원자 관리가 가능해요. 하지만, 수시 채용은 공고별로 진행되는 일정이 제각각이에요. 일정 조율, 합격 통보, 사내 커뮤니케이션 등을 수시로 진행하면서 비효율이 발생하죠. 더욱이나 기업의 채용 브랜딩이 중요한 요즘, 채용 프로세스가 더디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요. 채용 솔루션이 필요할 수밖에 없죠.
채용 프로세스를 단축시키고자 그리팅의 ATS가 출시된 거군요.
2021년 1월에 쉽고 효율적인 채용 프로세스를 만들어주는 그리팅 ATS(Applicant Tracking System)를 출시했어요. 기존에는 사람인, 원티드 등 다양한 채용 플랫폼에 공고를 올리고 플랫폼별로 지원자를 따로 관리했다면, ATS 하나만으로 지원자 이력을 통합 관리할 수 있어요. 채용 홈페이지 제작, 면접 일정 조율, 결과 통보, 채용 데이터 분석도 가능하고요. 결과적으로 채용 업무의 효율이 50% 이상 향상돼요. 현재 LG디스플레이, 카카오페이, 컬리 등 6,000곳 이상이 그리팅을 도입했죠.

지원자와 전화로 소통할 일이 없어지는 면접 일정 조율 기능

채용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공고별 칸반보드/리스트
국내에서는 그리팅이 ATS의 첫 사례예요. 해외는 이미 ATS가 보편화됐다고요.
공개 채용을 진행하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뿐이에요.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수시 채용이 주를 이루고, ATS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어요. 미국 포춘 500대 기업 중 98%는 ATS를 도입했고요. 그리팅을 개발할 당시 국내에는 ATS가 출시되지 않아 리스크는 존재했지만, 채용 트렌드가 변하는 걸 직감했기에 시장의 수요가 분명히 있을 거라 판단했어요. 다행히도 고객사들의 입소문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고요.
핵심 인재 제때 확보하려면?
체계적인 인재풀 관리가 답
채용 경쟁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기업이 지원자를 잠재적으로 찾는 과정 또한 활발해졌다고요.
최근에는 직무가 세분화되면서 직무에 적합한 경력자를 확보하는 게 중요해졌어요. 당장 채용하지 않아도 후보자를 미리 탐색하고 장기적으로 관계를 맺는 추세죠. 많은 기업이 개별 연락, 커피챗 등을 통해 후보자와 접촉하며 인재풀을 관리해요. 100명에게 제안을 보내면 평균 5명이 수락할 정도로 많은 공을 들여야 하는 작업이고요.
인재풀을 관리하기 위한 그리팅만의 서비스가 있나요?
2023년 8월에 그리팅 TRM(Talent Relationship Management)을 출시했어요. 세일즈 기업이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으로 잠재 고객을 관리하듯이, 기업은 TRM을 통해 후보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죠. 그리팅 TRM은 기존 지원자는 물론, 외부 채용 플랫폼에서 발굴한 후보자도 손쉽게 등록할 수 있게 도와줘요. 후보자와의 커뮤니케이션한 기록을 순서대로 확인할 수 있어 채용 진행 과정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요.
가장 유용한 기능을 하나만 추천해 주신다면요?
AI 파싱 기능을 활용하면 인재풀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요. AI 파싱 기능은 PDF, 한글, 워드 등 여러 형식의 이력서를 통합된 데이터로 변환해 원하는 인재를 재탐색할 수 있어요. 재직 회사, 직무, 경력 등 요건에 맞는 필터 설정이 가능하고요. 개별 문서를 일일이 열어보거나, 엑셀에서 함수나 필터를 적용하지 않아도 지원자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이력서 주요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검색할 수 있는 AI 파싱 기능
고객을 감동하게 만드는
그리팅의 핵심 경쟁력
그리팅은 주로 어떤 기업에서 도입하나요?
우선 그리팅 ATS는 기업 규모와 상관없이 많은 기업이 사용하고 있어요. 그리팅 TRM은 회사의 빠른 성장을 위해 조직에 가장 적합한 인재를 데려오고 싶어 하는 스타트업이나 리크루터를 보유한 대기업에서 사용하는 편이고요.
그리팅을 한 번 도입한 기업은 결국 못 빠져나간다는 이야기가 들려요.
보통 SaaS 회사들의 이탈률은 5%를 기록하는 한편, 2024년 기준 그리팅 이탈률은 약 1.4%로 낮은 수준이에요. 고객 유입도 중요하지만, 서비스 경험을 끌어올려서 고객이 이탈하지 않게 만드는 걸 제일 중요하게 여기는 편이에요. 고객의 목소리를 최우선으로 듣고 투명하게 소통하고자 노력하는 걸 고객사들이 알아주시는 것 같아요.

그리팅의 가장 큰 경쟁력은 무엇인가요?
VoC(Voice of Customer)를 통해 고객의 필요를 파악하고 빠르게 반영하는 걸 가장 잘해요. 서비스 초기 고객사와 미팅 때 여러 직무에 중복 지원한 사람들을 필터링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피드백을 들은 당일 저녁에 빠르게 업데이트한 적이 있어요. 그때 담당자분이 무척 고마워하셨던 게 아직도 기억에 남아요.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서비스가 발전하고, 고객사와 신뢰는 두터워져서 영업이 쉬워져요.
고객에게 사랑받는 비결이 있었네요.
해마다 제품 업데이트 횟수를 세어봤는데요. 2023년엔 700회, 2024년엔 1,000회를 기록할 정도로 늘어났어요. 내년엔 업데이트 횟수가 2,000회로 급증할 수도 있죠(웃음). 이제는 횟수를 세는 게 무의미한 것 같아요. 고객이 원하는 기능을 얼마나 빠르게 구현하는지가 중요한 과제예요.

앞으로의 계획이 궁금해요.
여전히 바꿔나가야 할 채용 문화가 많다고 느껴요. 채용은 크게 모집과 선발 단계를 거쳐요. 모집 관점에서는 기업 홍보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적합한 인재에게 알려지는지 점검이 필요해요. 선발 관점에서는 평가 기준이 실제 업무 성과와 얼마나 관련 있는지, 면접관이 이를 충분히 이해하고 면접을 진행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죠. 아직까지 국내에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미흡한 상황이에요. 대기업조차 해결하기 어려워하고요. 저희는 채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솔루션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믿어요. 더 나은 채용 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최근 팀을 확장하고 새로운 시도를 준비하고 있는데요. 두들린의 도전에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그리팅 도입을 고민한다면
👨🏻💻 그리팅 고객 사례: https://www.greetinghr.com/customer-story/interview
🛠️ 그리팅 도입 문의 : https://www.greetinghr.com/demo